맨위로가기

4호 구축전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4호 구축전차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에서 개발된 구축전차이다. 1942년 스탈린그라드 전투의 경험을 바탕으로 개발되었으며, 4호 전차의 차체를 기반으로 낮은 차체와 강력한 주포를 갖춘 것이 특징이다. 7.5cm Pak 39 L/43, L/48, Pak 42 L/70 주포를 장착한 다양한 파생형이 존재하며, 노르망디 상륙 작전, 벌지 전투 등에서 활약했다. 종전 후 서독은 4호 구축전차의 개념을 계승하여 카노넨야크트판처를 개발했으며, 시리아 등 여러 국가에서도 운용되었다. 현재 여러 박물관에 생존 차량이 전시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축전차 - FV102 스트라이커
    FV102 스트라이커는 영국 육군이 스윙파이어 미사일을 발사하기 위해 개발한 대전차 미사일 차량으로, 스윙파이어 미사일과 L7 범용 기관총으로 무장하여 영국 왕립 포병대에서 운용되다가 재블린 미사일로 대체되어 퇴역했으며, 과거 벨기에, 나이지리아, 온두라스에서도 운용되었다.
  • 구축전차 - 카노넨야크트판처
    카노넨야크트판처는 서독이 군비 국산화 계획으로 개발한 구축전차로, 라잉 HS.30 보병 전투차를 기반으로 90mm 대전차포를 장착하여 1965년 독일 연방군에 제식화되었으며 냉전 시대 서독 방위를 담당하다 1980년대 이후 성능 부족으로 개량되거나 용도 변경되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독일 전차 - 4호 전차
    4호 전차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의 주력 전차로, 원래는 화력 지원 전차였으나, 장포신 75mm 포를 장착하며 대전차 능력이 강화되어 독일 기갑 부대의 핵심 전력으로 활약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독일 전차 - 2호 전차
    2호 전차는 1930년대 독일에서 개발되어 제2차 세계 대전 초기에 독일군의 주력 전차로 활약한 경전차이며, 3호, 4호 전차 개발 지연으로 1호 전차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개발되었고 이후 다양한 파생형으로 개조되어 전쟁 후반까지 운용되었다.
4호 구축전차
개요
독일 전차 박물관에 전시된 IV호 구축전차의 모습
IV호 구축전차 (Sd.Kfz.162) (무ンスター 전차 박물관 전시 차량)
유형자주 대전차포
원산지나치 독일
생산 기간1943년 12월 – 1945년 4월
생산 대수약 2,000대
제원 (Panzer IV/70(V) 기준)
승무원4명 (운전병, 전차장, 포수, 장전수)
길이8.5 m
3.17 m
높이1.85 m
무게25.8 톤
장갑10-80 mm
주무장1 x 7.5 cm PaK 42 L/70 (55-60발)
부무장1 x 7.92 mm Maschinengewehr 42 (1,200발)
엔진Maybach HL120 TRM
엔진 출력300 PS (296 hp, 221 kW)
현가 장치리프 스프링
속도노상: 35 km/h
마력 대 중량비11.6 PS (8.6 kW) / 톤
항속 거리도로: 210 km
야지: 120 km
기타 정보
별칭IV호 구축전차
독일어 명칭Sturmgeschütz III
Sd.Kfz. 번호Sd.Kfz. 162

2. 개발

1942년 9월, 독일군 무기국은 스탈린그라드 전투의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공격 무기 기준을 제시했다. 이 기준에는 전면 장갑 100mm, 측면 장갑 40~50mm, 넓은 궤도, 낮은 차체, 최고 속도 26km/h가 포함되었다. 새로운 판처야거(구축전차)는 판터와 동일한 7.5cm Pak 42 L/70 포를 탑재할 예정이었으나, 초기에는 4호 전차 차체가 사용되었다. 마르더 3 시리즈나 3호 돌격포와 달리 낮은 차체와 완전히 차폐된 전투실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4]

1943년 8월, 쿠르스크 전투 이후 히틀러3호 돌격포4호 전차보다 더 나은 결과를 냈다는 보고를 받고 4호 전차 생산 중단 및 4호 구축전차 생산 집중을 계획했으나, 4호 전차는 종전까지 계속 생산되었다.[4] 히틀러는 1943년 10월 20일 포마크사의 시제차를 사열하고 주포를 신속하게 장포신 7.5cm포로 변경할 것을 명령했다.[4]

''4호 구축전차''는 4호 전차 7번 (BW7)을 사용했지만, 거의 수직인 전면 차체 장갑은 경사 장갑판으로 대체되었다. 내부적으로는 새로운 상부 구조물에 따라 배치가 바뀌어, 연료 탱크와 탄약고의 위치가 바뀌었다. ''야크트판처''는 포탑이 없기 때문에, 4호 전차의 포탑을 움직이던 엔진은 제거되었다.[4]

새 상부 구조물은 80 mm 경사 장갑이었으며, 100 mm 수직 장갑보다 훨씬 큰 방호력을 제공했다. 제작 공정을 최대한 단순하게 하기 위해, 상부 구조물은 서로 맞물리는 판들을 용접하여 만들어졌다.[4]

무장은 7.5 cm 주포로, 원래 Pak 42 L/70이 될 예정이었지만, 수량이 부족해서 구형 7.5 cm Pak 39 L/43 포가 우선 사용되어 선행 양산되었고, 곧이어 7.5 cm Pak 39 L/48이 초기 생산형에 달렸다. 이들은 Pak 42에 비해 짧고 위력도 낮았다.[4]

훨씬 무거운 Pak 42를 장착한다는 것은 ''4호 구축 전차''의 앞부분을 무겁게 한다는 것을 의미했고, 무거운 전면 장갑 때문에 이는 더 심해졌다. 이 덕분에 이들은 기동성이 낮아지고 험지 주파가 좀더 어려워졌고, 승무원들은 이것에 ''구데리안 엔테'' (구데리안의 오리) 라는 별명을 붙였다. 차량 무게 때문에 주행륜의 고무 테두리가 벗겨지는 것을 막기 위해, 일부 후기형에서는 앞에 강철 주행륜을 달기도 했다.[4]

''4호 구축전차''의 최종 시제품은 1943년 12월에 선보였고 1944년 1월부터 생산이 시작되었다. Pak 39 L/48 장비형은 11월까지 생산되었다. Pak 42 L/70 장비형은 8월에 생산 개시되어 1945년 3/4월까지 계속되었다.[4]

4호 구축전차는 신속하게 수를 확보하기 위해, 4호 전차로부터의 생산 라인 전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4호 전차 J형의 차대 위에 그대로 전투실을 얹은 형식의 것이 개발되었고, 이 타입의 차량은 생산이 알케트사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4호 전차/70(A)''' (A)의 제식 명칭이 부여되었다.[4]

3. 구성

4호 구축전차의 섀시는 기본적으로 4호 전차와 동일하지만, 차체 전면 하부 장갑판은 4호 전차의 수직 형태에서 각도를 가진 2면 구성으로 변경되었다. 4호 전차에서도 차체 전면 경사장갑화가 검토되었지만, 조립 지그 교체를 위해 기존 생산 라인을 중단할 수 없어, 새롭게 하청 업체인 포마크사의 공장에서 전용 섀시 생산 라인을 만든 구축전차에서만 실현되었다.

주포로는 48 구경의 7.5 cm PaK 39 L/48포를 장비했으며, 섀시 위에 포가를 설치한 돌격포형과 달리, 전면 장갑판에 직접 접합된 카르단틀 포가가 되어 차내 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생산성도 향상되었지만, 중량이 차체 전방에 쏠리는 노즈 헤비 현상으로 인해 조종성이 저하되어 "구데리안 엔테"(구데리안오리)라는 별명이 붙었다.

초기형은 주포 방패/차체 상부에 표준(개조 없음) MG 42 기관총 2정을 장착하여, 사용하지 않을 때는 장갑 덮개로 보호되는 사격구를 통해 7.92×57mm 마우저 소총 탄약을 발사했다. 주포가 이들 기관총 사이에 위치했기 때문에, 한 정은 좌측에서만 작동할 수 있었고, 이는 왼손잡이가 아닌 조작자에게는 비실용적이었으며, 다른 한 정은 우측에서만 작동할 수 있었다. 후기형은 내부에 약 1,200발의 탄약을 적재한 MG 42 1정을 부무장으로 탑재했다.[2]

4. 파생형


  • '''4호 구축전차 0 시리즈''' (Jagdpanzer IV 0-Serie): 7.5 cm Pak 39 L/43을 장비한 시제형으로, 1943년 12월 이전에 소수가 생산되었다.[1]
    O 시리즈 후기형
    (뮌스터 전차 박물관 전시 차량)
    양산형과 달리 방탄강철이 아닌 가공이 용이한 일반 강철(연강)로 제작되어 각종 시험에 사용되었다.[5] 외관상 차체 전면과 측면의 장갑 접합부가 곡선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 '''4호 구축전차 F형''' (Jagdpanzer IV Ausf.F, Sd.Kfz.162): 7.5 cm Pak 39 L/48을 장비했으며, 공식 명칭은 "4호 전차 차대에 7.5 cm Pak L/48을 장비한 신형 돌격포"였다. 1944년 1월부터 11월까지 802대가 생산되었다.[1] 경사진 전면 장갑은 60mm(수직 110mm 장갑에 상당)였으나, 5월 이후 생산 차량부터 80mm로 강화되었다. 주포에 마즐 브레이크가 장착되었으나, 포 위치가 낮아 먼지가 발생하여 조준이 어려워 제거되었고, 5월 이후 생산 차량에서는 부착용 나사산도 깎이지 않았다. --

  • '''4호 전차/70 (V)''' (Panzer IV/70(V), Sd.Kfz.162/1): 7.5 cm Pak 42 L/70을 장비한 파생형으로, (V)는 제작사인 포마크(Vomag)를 의미한다. 1944년 8월부터 1945년 4월까지 940대가 생산되어 가장 많이 생산된 형태이다.[1] 장포신 포 탑재로 노즈 헤비 경향이 심해져 9월 생산 차량부터 앞쪽 2개의 전륜을 강철제로 변경했다. --

  • '''4호 전차/70 (A)''' (Panzer IV/70(A), Sd.Kfz.162/1): 7.5 cm Pak 42 L/70을 장비한 또 다른 파생형으로, (A)는 알케트(Alkett)사를 의미한다. 4호 전차 J형 차체 위에 70(V)형과 비슷한 전투실을 얹은 형태로, 차고가 50cm 정도 높아졌다. 1944년 8월부터 1945년 3월까지 278대가 생산되었다. --


모든 파생형은 생산 과정에서 사소한 개량 및 현지 개량이 이루어졌으며, 가장 흔한 것은 쉬르첸(사이드스커트) 추가 장갑이다. 초기 차량에는 침메리트가 적용되었지만, 1944년 9월경부터 중단되었다. 후기 차량은 리턴 롤러가 3개로 줄었고, 쌍열 수직 배기구가 적용되었다.

4호 구축전차/70(V)와 4호 전차/70(A)는 다양한 부대에 배치되어 운용되었다. 다음은 그 예시이다.

4호 구축전차/70(V) 배치 부대 (일부)
상급 부대대대배치 수
제105 기갑 여단제2105 기갑 대대11량
제7 기갑 사단제42 전차 사냥꾼 대대17량
제116 기갑 사단제228 전차 사냥꾼 대대5량
『그로스도이칠란트』 기갑척탄병 사단『그로스도이칠란트』 전차 사냥꾼 대대21량
제1SS 기갑사단제1SS 전차 사냥꾼 대대11량



4호 전차/70(A) 배치 부대 (일부)
상급 부대배치 부대배치 수
제3 기갑 사단제8 중대/제6 기갑 연대17량
제24 기갑 사단제9 중대/제24 기갑 연대13량
『그로스도이칠란트』 기갑척탄병 사단제II 대대/『그로스도이칠란트』 기갑 연대38량



돌격포 여단 소속 차량(차량 형식 불명)의 경우, 제190 돌격포 여단에 3량, 제210 돌격포 여단에 4량, 돌격포 교도 여단에 16량 등이 배치되었다.

5. 전투 기록

4호 구축전차는 노르망디 상륙 작전, 벌지 전투, 동부 전선 등에서 활약했다. 구축전차 본연의 역할에서는 매우 성공적이었지만, 전차나 돌격포 대용으로 사용될 때는 제 역할을 하지 못했다. 그러나 전쟁 후반에는 독일군의 전차 부족으로 4호 구축전차가 전차 대용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았다.

1944년 헝가리에서 보병 지원 중인 4호 구축전차


루마니아는 전쟁이 끝난 후 붉은 군대로부터 4호 구축전차를 몇 대 받아 TAs T4라는 이름으로 1950년까지 운용했다. 1954년에는 모든 독일제 장갑차량이 폐기되었다. 불가리아 역시 독일과 소련으로부터 4호 구축전차를 받아 국경 방어선에 고정 포대로 활용했다.

제12 SS 기갑 사단의 루돌프 로이 (Rudolf Roy)는 4호 구축전차 에이스 중 한 명이다. 그는 아르덴 대공세 중 4호 구축전차 밖을 감시하던 중 미국 저격병에게 사살되었다.[3]

전후 서독은 카노넨야크트판처로 4호 구축전차의 개념을 이어갔지만, 고정 포탑을 가진 자주포가 제작된 경우는 드물다. 시리아는 1950년대에 4호 구축전차 6대를 획득하여 1967년까지 이스라엘과의 분쟁에 사용했다.[3]

6. 전후 운용 및 영향

서독은 4호 구축전차의 개념을 계승하여 카노넨야크트판처를 개발했다. 카노넨야크트판처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이 운용했던 4호 구축전차와 매우 유사한 설계를 가졌으며, 구식 M47 패튼 전차에서 가져온 90mm 대전차포를 장착했다.[1]

7. 생존 차량


  • 4호 구축전차 0 시리즈

:* 독일 뮌스터의 독일 전차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차량은 둥근 전방 장갑판을 가진 선행양산형이다. 이전에는 프랑스 소뮈르의 소뮈르 전차 박물관에 있었다. --

  • 4호 구축전차 L/48

:* 독일 뮌스터의 독일 전차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60mm 장갑을 가진 초기형이다. 이 차량은 독일 코블렌츠의 WTS에서 대여해 온 것으로, 이전에는 미국 메릴랜드 주 애버딘의 미국 육군 병기 박물관 소유였다가 1960년대에 독일로 반환되었다. --

:* 프랑스 소뮈르의 소뮈르 전차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60mm 장갑을 가진 초기형이다. --

:* 스위스 툰의 툰 전차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80mm 전방 장갑을 가진 후기형이다. --

:* 불가리아 군사 지역에 보존된 차량이 있다. 극초기 L/48형으로, 조종수의 기관총 슬롯이 용접되어 있는 유일한 생존 차량이다. 이 차량은 불가리아 국경 방어선의 일부였다. 2008년 2월 불가리아 국방부에 의해 회수 명령을 받았으며, 현재는 불가리아 얌볼의 전투 영광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폴란드 포즈난의 장갑 전투 박물관에는 4호 구축전차 L/48의 잔해가 보관되어 있다. 2009년 포즈난 요새 인근에서 발굴되었다.

:* 시리아 라타키아 근처 흐메이밈 공군 기지에 한 대가 있다.

:* 이스라엘 골란 고원 헤르몬 산 근처에서 발견되었으나, 현재도 그곳에 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 4호 전차 L/70 (V)

:* 불가리아 소피아의 국립 군사 역사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 러시아 쿠빈카 전차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 미국 메릴랜드 주 애버딘의 미국 육군 병기 박물관에 전시되었으나, 현재는 버지니아 주 Ft Lee에 보관되어 있다. --

:* 미국 켄터키 주 포트 녹스의 패튼 박물관에 전시되었으나, 현재는 조지아 주 Ft. 베닝에 보관되어 있다. 이 차량은 이전에 영국 슈리븐햄 연구 수집품 중 하나였다.

:* 캐나다 오타와의 캐나다 전쟁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차량은 이전에 캐나다 샤일로 캐나다 군 기지/지역 지원 부대에 있었다. --

:* 호주 장갑 및 포병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작동 상태로 복원되었다.

  • 4호 전차 L/70 후기형 (A)

:* 프랑스 소뮈르의 소뮈르 전차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차량은 1944~1945년 동안 자유 프랑스군이 사용했으며, 철갑탄 직격으로 인한 피해를 입은 그대로 전시되고 있다. --

참조

[1] 간행물 Jagdpanzer IV and IV/70 https://web.archive.[...] 2011-07-27
[2] 웹사이트 Jagdpanzer IV at Tank Encyclopedia https://tanks-encycl[...]
[3] 서적 Les Blindes de Damas 1948-1967 2011-05
[4] 웹사이트 wwiiafterwwii - wwII equipment used after the war>Panzers in the Golan Heights https://wwiiafterwwi[...] 2020-05-16
[5] 문서 O(オー)ではなく0(ゼロ)、0-Serie 英語ならゼロシリーズ、ドイツ語ならヌルシリ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